연구자료(HK)


15-16세기 동남아의 축제와 오락 4_ 연극, 무용, 음악

김인아 2013-06-04 00:00


연극, 무용, 음악 Theatre, Dance, and Music



동남아시아를 방문했던 유럽인들의 기록을 보면, 이 지역인들이 연극과 무용 및 음악을 얼마나 좋아했는지 알 수 있다.


"비사야섬의 남녀는 축제에서 아프지만 않다면 잠잘 때를 제외하고 지칠 때까지 노래하고 춤춘다."

"버마인처럼 연극을 좋아하는 나라는 아마도 지구상에는 없을 것이다."


이렇듯 동남아시아인들의 일상생활에 있어서 공연문화는 빠질 수 없는 중요한 오락이었다. 외세에 의해 왕조의 세력이 약해지기 전에는 그러한 공연문화는 다른 오락이나 경기와 마찬가지로 지배자에 의해 주도되었다. 다양한 볼거리를 민중에게 제공한다는 것은 왕의 지배를 공고히 하는 수단으로도 사용되었다.

연극과 무용은 또 다른 측면에서 보면 인간세계와, 신 및 과거의 전설적인 인물의 우주적 실체 사이를 연결하는 고리가 되었다. 이슬람교와 상좌불교가 도래한 이후에도 인도의 종교적 전통과의 접촉은 이러한 공연문화를 통하여 유지되었다. 라마야나와 마하바라타에 등장하는 영웅들은 동남아시아 각 지역의 과거의 전설로 탈바꿈되었고, 그런 인물들이 실제 인간이 아니기 때문에 인형이나 가면으로 표현되었다. 또한, 연극에는 반드시 무용이나 음악이 수반되었다. 무용은 신과의 교제를 의미하는 것이어서 인도화되지 않은 지역에서도 무용은 빠지지 않았다. 동남아시아 대부분의 지역이 서기 1세기경에 전래된 인도 서사시(라마야나)의 주제를 연극에 사용한 반면, 베트남은 유일하게 중국의 영향을 받은 무용극이 존재하였다.

대항해시대는 동남아시아에 엄청난 문화적 쇄신을 가져다 주었다. 그래서 각종 공연문화도 많은 변화를 겪게 되는데, 근대적 표현의 언어 사용이나 소품의 고급화가 이뤄지고 심지어는 도시적이고 국제적인 분위기로 인하여 상연주제도 신성하고 전통적인 것에서 탈피한 것들이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왕실이 주도하지 않는 대중적인 연극이 급격히 팽창한 것도 바로 이 시기부터이다. 17세기 마타람에서는 금기시되어 있던 가면을 쓰지 않은 실제 배우에 의한 무용극이 막간에 공연되기 시작했다. 자바어로 라꼰(lakon)이라 불리는 무가면 무용극은 도서부보다는 대륙부에서 더 확산되었다. 버마에서는 타 지역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전통극인 그림자극(wayang kulit, shadow theatre)은 없었지만, 독특하게 꼭두각시(marionette)를 이용한 인형극이 성행하였다. 17세기에는 이 지역 전반에 걸쳐 두 가지의 신성극(神聖劇) 전통이 융합되어 대단히 대중적인 연극양식이 탄생하게 되었는데, 라마야나, 마하바라타, 자타카(Jataka, 本生談), 현지의 역사적 사건 등을 소재로 하는 연극으로서 오락, 교육, 훈계의 기능과 함께 장례, 결혼, 그 외 중요한 제식에 꼭 필요한 인간세계와 신의 세계를 연결하는 역할을 가지게 되었다.

음악도 비단 연극에서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서 매일 접할 수 있는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었다. 다른 공연문화와 마찬가지로 음악 분야에서도 왕실과 민중 차원 사이에는 차이가 있다. 우선 동남아시아의 대표적인 악기인 징(gong)은 부유한 자들의 소유물이었다. 그래서 이러한 악기들은 신분과도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어, 왕이나 귀족들의 행렬에는 권위의 상징인 징이 항상 수반되었다. 또한, 징은 신분과 전쟁이라는 남성적 관심과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실외에서는 남자들에 의해 연주되는 것이 보통이지만, 큰 징과 북을 제외하고는 실내에서는 여자들이 연주하는 것이다. 당연히 청동제 악기와 가믈란(gamelan) 같은 악단은 부자들이 소유할 수 있는 것이지만, 그 외에 북, 피리, 현악기 등 단순한 악기들은 누구나 다 소유할 수 있는 것이었다. 촌락으로 가면, 값싼 재료인 대나무, 야자껍질, 야자수를 이용한 악기들도 있고, 리듬이 있는 곳이면 어디든지 노래가 흘러나온다. 베트남의 음악은 동남아시아의 타 지역과는 달리 동아시아 쪽에 가깝다.


<참고자료>
Reid, Anthony. 1988. Southeast Asia in the Age of Commerce 1450-1680 Volume One Festivals and Amusements. New Haven and London: Yale University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