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사항

홈연구원 소개>공지사항

2024 동남아언어캠프 수강생 모집 공고

조회 98

아세안연구원 2024-05-23 15:50

2024 동남아언어캠프 수강생 모집 공고


부산외대와 전북대가 함께하는

2024 동남아언어캠프 수강생 모집 안내

 

2024년 동남아언어캠프가 오는 71일부터 12일까지 부산외대 교정에서 열립니다. 이번 캠프에서는 5개의 동남아언어[말레이-인도네시아어ㆍ미얀마어ㆍ베트남어ㆍ태국어, 필리핀어(온라인)]와 아랍어ㆍ이탈리아어까지, 7개의 정부 지정 특수외국어에 대한 집체교육이 이루어집니다.


언어강의와 더불어 동남아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지역이해 전문가 특강도 준비되어 있으니 동남아 언어 및 아랍어, 이탈리아어를 배우고자 하는 국내외 대학생, 대학원생과 학자 여러분의 많은 관심 바랍니다.


올해부터는 그간 여름과 겨울 연 2회 개최해 온 언어캠프를 하나로 통합, 초급과 중급 강좌를 동시에 개설하여 연 1회만 개최합니다. 이 점 꼭 참고하여 올여름 동남아언어캠프, 놓치지 말고 신청해 주세요!

 

기간: 202471~ 712(2주간, ~금 평일 강의/ 주말은 휴강)

장소: 부산외국어대학교

캠프 일정

- 개회식: 71일 오전 10

- 언어강좌: 평일 오전 10:00~12:00, 13:30~16:00 (매일 5시간씩, 45시간)

* 온라인강좌(필리핀어): 평일 10:00~12:00 (매일 2시간씩, 20시간)

- 동남아 지역이해 특강 (3)

- 수료식 (712일 오후 130)

 

개설 언어강좌

- 초급: 말레이-인도네시아어, 미얀마어, 베트남어, 태국어, 아랍어, 이탈리아어

- 중급: 말레이-인도네시아어, 베트남어, 태국어

- 온라인: 필리핀어 (초급/중급 중 신청자 많은 1개 강좌 개설)

강좌당 최소 수강인원 미달 시 강좌 미개설 (초급: 최소 5, 중급: 최소 3)

 

모집인원

- 초급: 언어반별 5~10/ 중급: 언어반별 3~10

언어반별 최대수강인원은 10명이나 미달 분반 발생 시 타 언어반 추가 배정 가능

 

학점교류 관련 정보(전북대 학부 재학생만 해당)

- 교과목명: 언어강좌(: 베트남어 A1)

- 인정학점: 3학점(일반선택)

- 평가방식: Pass/Fail

- 수업료: 15만 원 (수료를 조건으로 국립대육성사업에서 전액 지원)

- 유의 사항:

학부생만 학점 인정 가능(, 4학년 2학기 재학생의 경우 학점교류 대상에서 제외)

휴학생은 계절학기 수업료 지원 불가(학점교류는 신청 가능)

학점교류로 신청하지 않을 시 일반수강으로 참여 가능

학점교류로 신청한 학생은 참가보증금 면제

 

수료 기준: 아래 두 조건 모두 충족 시 인정

1. 언어강좌 80% 이상 출석 (, 수업 태도 및 평가 등을 반영하여 강사 재량으로 결정)

2. 동남아 지역이해 특강 전회 100% 참석

 

참가비용

- 수강료 및 교재비 무료

- 참가보증금: 5만 원 (수료 기준 충족 시 캠프 종료 후 전액 환급. 입금 계좌 추후 안내)

 

숙박 지원

- 부산 외 지역 거주자에게 기숙사 21실 제공

 

접수 및 참가자 선발

* 접수 기간: 522~ 531

* 선발: 신청 인원 초과 시 UNSEASK 참여대학(학과) 소속 학생 우선 선발

* 신청링크: http://bit.ly/2024SEASK

* 문의: 카카오톡 채널 전북대 동남아언어캠프’ / 이메일: measjbnu@gmail.com

 

주관 기관: 부산외대 특수외국어사업단, 전북대학교 동남아연구소 및 사회과학대학(동아시아·다문화 융복합 연계전공), 필리핀국립대학교 한국학연구소

 

동남아언어캠프를 위한 한국대학연합(UNSEASK) 참여 대학

부산외국어대(특수외국어사업단ㆍ아세안연구원), 전북대(동남아연구소ㆍ사회과학대학ㆍ고고문화인류학과ㆍ국제인문사회학부), 서울대(인류학과ㆍ아시아언어문명학부ㆍ정치외교학부ㆍ국제대학원ㆍ아시아연구소), 연세대(문화인류학과ㆍ국제관계학과(원주캠퍼스)), 고려대(정치외교학과ㆍ경제학과(세종캠퍼스)), 창원대(국제관계학과), 전남대(정치외교학과), 경상대(정치외교학과), 전주대(행정학과), 조선대(무역학과), 강원대(문화인류학과), 서강대(동남아시아학협동과정), 경희대(공공대학원), 경북대(고고인류학과), 인하대(사회교육과), 부경대(국제지역학부), 목포대(인문콘텐츠학부 문화유산전공), 서울시립대(국제관계학과), 한남대(경제학부), 단국대(아시아중동학부 베트남학전공), 국방대(안보정책학과), 숙명여대(글로벌거버넌스연구소), 강릉원주대(다문화학과), 충남대(정치외교학과), 동서대(민석교양대학), 부산대(국제전문대학원), 계명대(스페인중남미학과), 성균관대(좋은민주주의연구센터), 덕성여대(문화인류학전공), 제주대(정치외교학과)